[태그:] 사도섬

  • 사적 사도광산

    사적 사도광산

    사도광산(佐渡金山)의 자료관에는 12.5kg의 순금 방망이가 있습니다만 한 손으로 꺼내는 것은 무리였습니다! 사도광산(정식명 아이카와 금은산(相川金銀山))은 니가타현(新潟県) 사도섬(佐渡島)에 있는 일본 최대의 금은광산입니다. 에도시대(1601년)에 발견된 후 헤이세이 시대(1989년)에 폐광할 때까지 388년간 채굴했습니다. 갱도의 총연장은 400km에 이르며 그 중 약 300m가 사적 사도광산의 관광코스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사적 사도광산’에서는 에도시대(17세기) 초기에 파낸 소다유코(宗太夫坑)과 메이지 시대(19세기 중기) 이후에 개삭된 도유코(道遊坑)의 2개의 갱도터 견학을  할 수 있습니다. 소다유란 산사(광산의 경영자)의 이름입니다. 소다유코('에도 광산 에마키 코스(江戸金山絵巻コース)')에는 약 70개의 인형을 설치해 에도 시대의 그림 두루마기에 그려져 있는 사도광산의 채굴 풍경을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습니다. 처음으로 사도광산을 둘러보는 분들께 추천하는 코스입니다. 소다유코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전시는 카나호리다이쿠(金穿大工)가 "빨리 나가서 술 마시고 익숙한 여자도 만나고 싶다"라고 중얼거리는 휴식 장면입니다. 이 대사가 듣고 […]

  • 사도섬의 관광 명소 정리

    사도섬의 관광 명소 정리

    니가타현(新潟県)의 사도섬(佐渡島)의 면적은 도쿄 23 구의 1.5배입니다. 잘 알려진 사도광산(佐渡金山), 타라이부네(たらい舟), 따오기(朱鷺)를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당일치기로는 다소 시간이 모자랍니다! 사도섬은 일본해에 위치한 니가타현(新潟県)의 섬입니다. 면적은 약 854km². 혼슈 등 주요 4개 섬과 북방 영토를 제외한 일본 섬 중에서는 오키나와 본섬 다음으로 큰 섬입니다. 면적은 도쿄도 23구의 약 1.5배입니다. 노선버스의 운행편수가 적고 관광지가 광범위하게 흩어져 있어 잘 알려진 사도관광 관광코스인 따오기(朱鷺), 사도광산(佐渡金山), 타라이부네(たらい舟)를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당일치기로는 불가능 합니다. 자동차를 이용해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사도섬으로 오시는 길은 니가타항(新潟港/니가타현 니가타시)~사도섬(료츠항(両津港)), 나오에츠항(直江津港/니가타현 조에츠시)~사도섬(오기항(小木港))과 각각 항로가 연결되어 있어 사도 기선의 카페리나 제트 포일이 취항하고 있습니다. 또한 니가타항~료츠항의 해상 구간과 나오에즈항~오기항의 해상 구간은 국도 350호선(통칭 바다의 국도)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사도섬은 알파벳 S자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북쪽은 오사도(大佐渡), […]

  • 사도 오케사(佐渡おけさ)의 뿌리

    사도 오케사(佐渡おけさ)의 뿌리

    일본을 대표하는 민요 “사도 오케사(佐渡おけさ)”의 루트를 알고 싶은 사람 따로 없습니까? 니가타현(新潟県)의 사도섬(佐渡島)에는 일본을 대표하는 “사도 오케사”라는 에도 시대 부터 전해지는 민요가 있는데, “사도 오케사”라고 불리게 된 것은 다이쇼 시대 말기 부터였습니다. 기타마에부네(北前船)과 사도오케사 “사도 오케사”는 구마모토현(熊本県)의 “우시부카 하이야부시(牛深ハイヤ節)”가 바탕으로 되어 있습니다. 에도 시대에 동해의 각 항구를 들르면서, 오사카()에서 홋카이도(北海道)까지 물자를 나르고 있었던 기타마에부네(北前船)의 선원들에 의해 술잔치 자리에서 제창된 “하이야부시”가 사도섬에도 전해졌습니다. 사도 오케사의 유래 사도 금산(佐渡金山)에서 채굴된 금은의 선적 항구로 열린 오기항(小木港)은 기타마에부네(北前船)의 기항지 중의 하나로, 뱃사람들에 의해 제창된 하이야절은 “오케사부시”라고 불리게 되고, 오기의 게이샤들은 “오케사부시”에 맞추어 안무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아이카와 금산 (통칭 : 사도금산)에도 전해져 광부들의 작업 노래로 칭송받게 되면서 현재와 같은 애수감 넘치는 멜로디가 되었습니다. […]

  • 니시미가와 사금산(사금채취 체험)

    니시미가와 사금산(사금채취 체험)

    억만장자가 되고 싶은 사람 모여라! 사도섬(佐渡島) 최고의 금산, 니시미가와 사금산에서 사금 채취를 해보지 않겠습니까. 니가타현 사도섬에는 <금의 새>라고 불리우는 사도금산이 유명하지만 실은 사도섬에는 확인된 것만으로도 55의 금은산이 있습니다. 그속에서도 니시미가와(西三川) 사금산, 니이보(新穂) 은산, 츠루시(鶴子) 은산, 아이카와(相川) 금은산 (통칭, 사도금산)이 주된 광산입니다. 2024년 7월, 니시미가와 사금산는 ‘사도 섬의 금산’의 구성 자산 중 하나로 세계유산의 등재가 결정되었습니다. 사도섬의 가장 오랜 금산이 니시미가와 사금산 입니다. 헤이안시대 후기(12세기경)의 “콘자쿠 모노가타리(今昔物語)”속에서 사금 채취를 하고 있었다는 설화가 있는 모래 금산 입니다. 16세기후반 사도를 지배한 에치고(越後)의 우에수기 카게카츠는 니시미가와 사금산의 재개발을 하여 산출된 사금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한테 봉납 되었습니다. 니시미가와 사금산 주변에 있는 사사가와(笹川) 집락에서는 당시 한달에 한번 사금 18장(약 2.9kg)을 세금으로 상납하고 있었기때문에 “사사가와 쥬하치마이 무라(笹川十八枚村)”라고 […]

  • 사도광산(佐渡金山)와 광산 주변의 추천 관광 명소

    사도광산(佐渡金山)와 광산 주변의 추천 관광 명소

    사실 사도섬에는 사도금산라는 광산이 없습니다 일본 최대급, 세상에서 유수한 광산이 니가타현(新潟県) 사도섬(佐渡島)에 있었습니다.이번엔 <금의 섬>으로 알려진 사도섬의 <사도광산(사도금산)>을 소개합니다. 예전부터 <황금의 나라 지팡구>라고 불리운 일본. 그 이유는 일본 각지에서 금과 은이 채굴 되었기때문입니다.그 속에서도 <사도광산(사도금산)>은 각별했고 전성기에는 년간 금400키로, 은 40톤 이상이 발굴되어 토쿠가와막부의 재정을 안받침하는 중요한 금산이 되었습니다.그 역사는 오래전 에도시대에 개산된 후 헤이세에시대에 폐산 될때까지 388년동안 채굴이 계속 되었습니다.갱도의 총거리는 400km. 그 중 약 300m를 견학 할수 있습니다.최근에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활동이 활발합니다. 사도금산와 주변 관광명소 사도섬(佐渡島)에는 확인된 것만으로도55개의 광산(금은산(金銀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세계유산인 사도섬(佐渡島)의 금산에 등재신청한 구성자산은 니시미카와 사금산(西三川砂金山), 아이카와 금은산(相川金銀山), 츠루코은산(鶴子銀山)의 3개의 광산입니다. 사실 사도에는 ‘사도광산(사도금산)’라는 이름의 광산은 없습니다. ‘사도광산(사도금산)’는 아이카와 금은산의 갱도터를 이용해 에도 시대의 […]

  • 사도섬(佐渡島)의노가쿠(能楽) <사도 다키기노(佐渡薪能)>

    사도섬(佐渡島)의노가쿠(能楽)

    사도섬(佐渡島) 섬에는 일본전국 중에서 3분의 1의 노 무대가 있습니다. 노가쿠(能楽)는 도민 생활의 일부이므로 노가쿠를 처음 보자면 사도섬에서… 자세히 알지 못하더라도 즐길 수 있는 사도의 노가쿠를 감상하자요! 니가타 현의 사도섬(佐渡島) 섬은 세계 유산으로 등록 된 일본의 독특한 연예 <노가쿠(能楽)>가 매우 활발합니다. 사도섬의 노가쿠는 마을 축제 나 축하 행사 등으로 선보일 오락으로서 도민의 생활에 침투하고 있었기 때문에 에도 시대로부터 메이지 시대의 사도섬에는 200이상의 노 무대가 있었습니다. 지금도 30여개의 노 무대가 남아 있습니다. 이것은 일본에 있는 노 무대 중에서 3분의 1에 해당하는 숫자입니다. 현존하는 사도섬의 노 무대 중에서도 니가타 현에서 지정된 유형 민속 문화재가 8동, 사도시에서 지정된 문화재가 5동 있습니다. 봄부터 가을에 걸쳐 사도섬의 노 무대에서 노가쿠 공연이 개최됩니다. 거의 대부분은 노 무대 […]

  • 사도섬(佐渡島)에서 따오기를 만날 수 있는 방법

    사도섬(佐渡島)에서 따오기를 만날 수 있는 방법

    절멸위구인 따오기를사도섬(佐渡島)에서 만날수 있는 확률은 100%! 따오기와의 거리가 단 2cm이기때문에 진짜 흥분했어요! 절멸직전이 되버린 따오기에 대한 설명입니다. 19세기 전반까지 따오기는 일본을 비롯해서 러시아, 중국, 조선반도 등 동아시아 어디서나 볼수 있었던 결코 희귀한 새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19세기말부터 20세기에 들어서서 모든 생식지에서 난획이나 생식환경의 악화때문에 격감되어 20세기 후반에는 절멸 혹은 절멸직전 수준으로 되어있습니다. 일본에서는 1981년에 니가타현 사도섬 (佐渡島)에 살아 남았던 마지막 5마리 따오기를 포획해서 인공번식을 시도 했지만 성공 못해 2003년에 일본에서 태어난 마지막 따오기가 죽어버렸습니다. 중국에서는 20세기 중반경까지 절멸했다고 생각되었는데 1981년에 중국 내육지역에서 7마리의 따오기가 발견되었습니다. 생식지의 환경보전과 인공번식에 의해 매년 따오기 수는 불어나고 있습니다. 1999년에 중국에서 따오기 암수 한쌍이 일본에 기증되어, 인공번식에도 성공을 하여 일본에서도 조금씩 따오기 수는 불어나고 있습니다. (일본 따오기와 […]

  • 사도섬(佐渡島)은 유형의 섬이라고 불리우고 있지만 현재 사도에 사는 사람들은 유형을 당한 사람들의 자손인가요?

    사도섬(佐渡島)은 유형의 섬이라고 불리우고 있지만 현재 사도에 사는 사람들은 유형을 당한 사람들의 자손인가요?

      유배(流罪)란 죄인을 도읍지에서 변방의 땅이나 섬으로 추방하는 형벌로 특히 섬으로 추방하는 경우는 ‘시마나가시(島流し)’라고 부릅니다. 유배는 사형 다음으로 무거운 형벌입니다. 고대 일본의 율령제도에서는 도읍지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콘루(近流)’, ’츄루(中流)’, ‘온루(遠流)’의 3등급으로 나누어져 죄가 무거울수록 더 멀리 귀양되었습니다. 니가타현(新潟県) 사도섬(佐渡島)은 나라시대(724년)에 ‘온루’의 유배지으로 정해졌습니다. (온루의 유배는 ‘사도’ 이외에, ‘이즈(伊豆)’, ‘오키(隠岐)’, ‘안보(安房)’, ‘토사(土佐)’, ‘히타치(常陸)’의 6개국입니다.) 이후 나라시대(8세기)부터 무로마치 시대(14 세기부터 15 세기)까지 약 700년간에 약 70명이 사도섬에 유배되었습니다. 전국시대(16세기의 오다노부나가(織田信長), 도요토미히데요시(豊臣秀吉)가 있던 시대)에는 사도섬으로의 유배는 없었습니다. 유배된 사람들(=루닌(流人)) 중에는 가마쿠라 시대(13세기)의 준토쿠조코(順徳上皇)이나 니치렌성인(日蓮聖人), 무로마치 시대(15세기)의 제아미(世阿弥) 등 귀인과 문화인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에도시대까지의 사도 섬의 루닌은 주로 정치범이나 사상범이 차지 하였습니다. 『릿쇼오안코쿠론(立正安国論)』의 내용이 카마쿠라 막부의 노여움을 사서 1271년 겨울, 니치렌쇼닌(日蓮聖人)은 사도섬로 유형되었습니다. 엄한 추위와 더불어 […]

  • 사도섬(佐渡島) 의 센카쿠완 (尖閣湾)

    사도섬(佐渡島) 의 센카쿠완 (尖閣湾)

    사도섬(佐渡島) 의 센카쿠완 (센카쿠만, 尖閣湾)은 영화 “너의 이름은”의 성지!? 북유럽의 피요르드와 같은 경치가 훌륭하다고 여행잡지에도 게재되는 센카쿠완에 찾아갔습니다. 니가타현 사도섬 북서부에 위치하는 소토카이후(外海府) 해안 남쪽에 <센카쿠완(尖閣湾)>이 있습니다. 센카쿠완은 5개의 작은 만의 총칭으로서 전 거리 약 3키로가 되는 혐만입니다. 오래전에 사도섬의 최고봉 <킨포쿠산(金北山)>이 분화 했을때 용암이 해안단구로 흘러들어가 오랜 세월 겨울의 계절풍과 일본해의 거친 파도에 의해 침식 되었답니다. 사도섬의 대표적인 경승지로서 나라의 명승지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1932년 문부성의 천연기념물의 답사가 있었을때 “천하의 절경이라고 불리우는 북유럽 노르웨이의 하르당에르 혐만의 경관에도 못지않는 해안미”로서 조사원들이 절찬을 하였다고 해서 그 이름을 직역해서 <센카쿠완>으로 지었답니다. 센카쿠완의 전망대부터 전경을 일망 할수 있으며 거칠게 깎인 단애와 암초로 이루어진 경관미를 즐길수 있습니다. 유람선도 운항하고 있습니다. 센카쿠완 앞바다에 뜬 아게시마(揚島)를 잇는 […]

  • 키타마에부네(北前船)오기민속박물관

    키타마에부네(北前船)오기민속박물관

    사도섬(佐渡島)에서 타라이부네(대야 배)를 타고 슈쿠네기(宿根木)의 삼각집을 본 후는 거대한 센고쿠부네(千石船)배와 노스탤직한 분위기가 감도는 오기민속박물관에 가보자! 니가타현 사도섬 남단에 있는 작은 집락・슈쿠네기는 “센고쿠부네의 마을”이라고 불리우고 있습니다. 중세 부터 슈쿠네기는 해운업이나 조선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었고 에도시대 부터 메이지시대에 걸쳐서 키타마에부네(北前船)의 기항지가 되어 해운조선산업의 기지로서 번영 하였습니다. 키타마에부네란 혹카이도 부터 일본해, 시모노세키(下関)를 경유하고 세토우치해(瀬戸内海), 오사카를 이은 항로를 왕복하는 상선으로서, 배 모양에서 “베자이센(弁才船, 일본의 돛배)”라고 불리워 속칭으로 “센고쿠부네”라고 불이웠습니다. 벤자이센은 운임을 받고 하물을 나르는 것이 아니라 선주 자신이 상품을 사고 각지 항구에서 상품을 매매하면서 이익을 올리고 있었습니다. 오사카에서는 쌀, 소금, 술, 옷, 일용품 등을 구입하고 도중 매매를 하면서 혹카이도에 나르고, 혹카이도에서는 청어, 연어, 미역 등 해산물을 구입하고 각지 항구에서 매매를 하면서오사카에 돌아왔습니다. […]

  • 사도섬의 전통 예능 도깨비 북(온데코)

    사도섬의 전통 예능 도깨비 북(온데코)

    도깨비 북(鬼太鼓)은 에도시대부터 사도섬(佐渡島)에서 활동하고 있는 드럼 & 댄스 유닛입니다. 퍼포머는 강한 도깨비 마스크나 괴상한 노인의 마스크를 쓰고 춤을 추면 팬들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니가타현(新潟県)의 사도섬(佐渡島)에 전해지는 도깨비 북(鬼太鼓)은 ‘온데코’라고 불리며 오곡풍양·가내안전·무병식재·장사번성 등을 빌면서 마을의 집들을 하나하나 돌며 액운을 쫓는(악마를 쫓는) 신사예능입니다. 온데코(鬼太鼓)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온데코는 ‘노가쿠(能楽)’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노가쿠의 춤사위에 북의 리듬을 더하고 독특한 안무가 더해져 현재의 온데코의 형태가 완성되었다고 합니다. 사도섬에는 일본에 있는 노무대의 3분의 1이 있을 정도로 노가쿠가 성행한 지역입니다. 현재는 120 전후의 촌락에서 계승되고 있으며 촌락마다 온데코와 북의 리듬이 다르지만 온데코를 크게 나누면 아이카와계(相川系), 쿠니나카계(国仲系), 마에하마계(前浜系)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이카와계는 늙은이의 탈을 착용 전통적인 예모(烏帽子)를 쓰고 전통적인 예복(素襖) 차림의 ‘마메마키(豆まき)’라고 불리는 연기자가 되(升)를 […]

  • 사도섬(佐渡島) 슈쿠네기(宿根木)취락

    사도섬(佐渡島) 슈쿠네기(宿根木)취락

    여배우 요시나가 사유리(吉永小百合)씨도 타임슬립한 사도섬(佐渡島) <슈쿠네기(宿根木)>의 마을 모습, 가끔은 헤메이면서 이 신기한 마을을 산책 해보았어요 니가타현(新潟県) 사도섬(佐渡島) 남단에 있는 슈쿠네기(宿根木)는 에도 시대 중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처서 키타마에부네(北前船)의 기항지로 발전한 작은 집락이었으며 선주나 선대공들이 회선업이나 조선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당시 모습은 현재도 깊이 남아 있고 독특한 분위기를 풍기는 세로로 판자를 댄 건물에는 폐선의 재료가 쓰입니다. 이것은 선박에 사용되는 목재는 내구성이 높고 빗바람이나 소금 염해부터 집을 지키는데 충분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정된토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2층 면적이 1층 면적과 같은 집으로 만들었던 것도 슈쿠네기의 특징이며 집락 전체에 100을 넘습니다. 1991년에 니가타현에서는 유일하게 “나라의 중요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지구”로 지정 되었습니다. 선주의 주택인 “세이쿠로의 집(清九郎の家)”, 선대공이 살고 있었던 “카네코야(金子家)”, 좁은 모양에 맞춰 삼각형으로 세워진 “상카쿠야(三角家)”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