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무형문화유산

  • 나마하게(ナマハゲ)

    나마하게(ナマハゲ)

    아키타 현(秋田県)에서는 어린이의 훈육으로 나마하게(ナマハゲ)이 스테디셀러입니다. 나마하게(ナマハゲ)는 아키타현(秋田県) 오가시(男鹿市) 등 오가반도 주변에서 행해지는 설날의 전통 민속행사이다. (현재는 섣달 그믐날에 행해지고 있습니다) 오니(귀신)의 탈을 쓰고 짚 의상을 입은 나마하게(ナマハゲ)이라고 불리는 신(내방신)이 집집마다 액막이를 하거나 게으른 사람을 훈계하는 독특한 풍습입니다.국가의 중요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2018년에는 ‘라이호 신(내방 신): 가면·가장의 신들'(가면을 쓰고 가장을 한 신의 내방의식(来訪儀式))’의 구성자산으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도 등재되었습니다. 나마하게 란? 라이호 신(내방 신, 来訪神)이란 1년에 한 번 정해진 시기에 인간의 세계로 온다는 하나님을 말합니다. 아키타현(秋田県)에서는 나마하게(ナマハゲ)과 비슷한 행사가 노시로 시(能代市)의 ‘나고메하기(ナマメハギ)’, 아키타 시(秋田市)의 ‘야마하개(ヤマハゲ)’, 니카호 시(にかほ市)의 ‘아마노하기(アマノハギ)’ 등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핫포 초(八峰町)에서 남쪽으로는 니카호 시(にかほ市)까지의 해안 지대에서 널리 볼 수 있습니다. 나마하게의 유래 나마하게(ナマハゲ)은 ‘나모미를 벗겨내다’라는 말이 전언(転訛)된 것입니다. ‘나모미’는 오가반도(男鹿半島)의 옛말로 불을 […]

  • 아마하게(アマハゲ)

    아마하게(アマハゲ)

    아마하게(アマハゲ)가 기성(奇声)을 지르며 집안으로 들어가 아이를 쫓거나 껴안거나 아마하게(アマハゲ)에게 붙잡혀 흐느끼는 아이에게 크게 기뻐하는 어른들. ‘아마하개(アマハゲ)’는, 초카이산(鳥海山) 기슭, 야마가타현(山形県) 유사쵸(遊佐町)의 타키노우라(滝ノ浦), 메가(女鹿), 도리자키(鳥崎)의 3촌락에 전해지는 설날의 전통 행사입니다. 아키타 현(秋田県)의 오가 반도(男鹿半島)에 전해지는 ‘나마 하개(ナマハゲ)’와 매우 비슷합니다. 오니(귀신)이나 옹의 탈을 쓰고 겐탄(ゲンタン)이라고 불리는 도롱이(蓑)를 입은 마을 젊은이들이 북을 치고 기성(奇声)을 지르며 집집마다 방문해 오곡풍양, 무병식재를 기원하고 게으른 사람들을 훈계하는 독특한 풍습입니다. 아마하개는 국가의 중요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2018년에는 ‘라이호 신(내방 신): 가면·가장의 신들'(가면을 쓰고 가장을 한 신의 내방의식(来訪儀式))’ 중 하나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도 등재되었습니다. 내방신이란 1년에 한 번 정해진 시기에 인간의 세계로 온다는 하나님을 말합니다. ‘아마하개(アマハゲ)’의 유래는 ‘아마 벗기기’에서 온 것 같습니다. ‘아마’는 유자(遊佐)의 옛말로 불을 오래 쬐면 피부에 생기는 붉은 얼룩무늬(화반(火斑))를 말합니다. […]

  • 미즈카부리(水かぶり)

    미즈카부리(水かぶり)

    온몸에 지푸라기를 두른 도롱이벌레처럼 생긴 신이 양동이의 물을 집집마다 뿌립니다! 미야기현(宮城県) 도메시(登米市)의 요네가와(米川) 지구에서는, 매년, 초오(初午)의 날(2월 최초의 오(午)의 날. 오(午)은 십이지 중의 하나)에 ‘미즈카부리(水かぶり)’이라고 불리는 히부세(火伏) 행사가 열립니다. 히부세(火伏)은 신불의 영력에 의해 화재를 막는다는 불막이 풍습으로,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정월 대보름날에 비가 오지 않으면 화재가 많다는 전설이 있기 때문에, 요네가와 지구내의 마을에서는 남자들이 ‘오시메(御注連)’이라고 불리는 짚옷을 입고, 짚신을 신고, 얼굴에 숯을 바르고 마을의 집들의 지붕에 물을 뿌려 행진합니다. 8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요네가와의 미즈카부리(水かぶり)’은 국가 중요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2018년에는 ‘라이호 신(내방 신): 가면·가장의 신들'(가면을 쓰고 가장을 한 신의 내방의식(来訪儀式))’의 하나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도 등재되었습니다. 내방신이란 1년에 한 번 정해진 시기에 인간의 세계에 온다는 하나님을 말합니다. 종을 울리는 효토코(ヒョットコ)와 저울대을 이용해 들통을 […]